고객마당

자료실


[보건복지부보도자료] 2016.10.12/ 치료경험담 의료광고는 불법, 인터넷 광고 점검 결과 발표

조회수 : 430회

이름 : 관리자 2018-10-30 16:10:23

치료경험담 의료광고는 불법, 인터넷 광고 점검 결과 발표

상당수 의료기관이 치료경험담을 통한 의료광고 시행 중

인터넷 상 로그인 절차 없이 게시한 치료경험담 광고는 의료법 위반

의료기관 홈페이지, 블로그 등에 게시된 치료경험담, 주의해야 !

보건복지부(장관 정진엽) 및 한국인터넷광고재단(이사장 신현윤)은 2016. 10. 13.(목) 의료법상 금지된 치료경험담 광고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점검 결과를 발표하였다.

환자의 치료경험담을 인터넷 상 개방된 공간에 로그인 등 제한 절차 없이 게시하는 것은 의료법상 의료광고의 금지기준에 해당되는 위반사항임(의료법 제56조 및 동법 시행령 제23조)

두 기관은 ’16. 8. 24∼ 9.1까지 성형외과, 피부과, 비만클리닉 등 성형·미용 분야의 657개 의료기관의 홈페이지·카페·블로그를 모니터링하여 치료경험담을 통한 의료광고 시행 여부를 점검하였다.

성형·미용 분야 의료기관 657곳* 에 대한 조사 결과,

174개(26.5%)의 의료기관의 홈페이지·카페·블로그에서 로그인 등 제한절차 없이 환자의 치료경험담을 광고하여 의료법을 위반하였다.

* 홈페이지 등에 방문자 숫자가 많은 의료기관 657곳을 조사대상으로 선정

특히, 성형외과 427개소 중, 140개(32.8%)가 의료법을 위반하였고, 피부과는 184개소 중 22개소(12%), 비만클리닉은 46개소 중 12개소(26.1%)이 의료법 위반으로 적발되었다.

또한, 성형·미용 분야에서 불법 의료광고를 게시한 의료기관 174개소 중 110개소(63%)는 서울시 강남구에 소재 하였다.

불법 치료경험담 광고의 노출 위치는 블로그 48%, 홈페이지 32%, 카페 20% 순이었다.

의료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직결된 만큼, 의료기관의 치료경험담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.

우선, 의료기관 홈페이지(또는 블로그, 카페)의 치료경험담을 로그인 등 제한절차 없이 볼 수 있는지 여부와,

치료효과를 보장하거나 과장하는 등 소비자를 현혹하는 거짓·과장 광고에 대해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.

보건복지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통해 적발된 위법한 치료경험담을 광고한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관할 보건소에 통보, 관련 법령에 다른 행정조치* 등을 요청 할 방침이다.

* 의료기관 업무정지 1개월 및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가능

보건복지부는 향후 한국인터넷광고재단을 비롯, 대한의사협회·치과협회·한의사협회 등 의료계와 협조를 통한 불법 의료광고 모니터링을 지속 · 강화하고,

적발된 불법 의료광고에 대해서는 인터넷기업협회 및 인터넷주요포털에 해당 광고 차단, 관할 보건소로 행정처분 및 사법기관 고발 등 강력한 조치를 요청할 계획이다.

보건복지부는 관련협회와 협조하여 국민들이 잘못된 의료광고로 인해 피해를 입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계속 모니터링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.

 

 

*출처: 보건복지부 보도자료

(http://www.mohw.go.kr/react/al/sal0301vw.jsp?PAR_MENU_ID=04&MENU_ID=0403&page=1&CONT_SEQ=334771&SEARCHKEY=TITLE&SEARCHVALUE=%EC%9D%98%EB%A3%8C%EA%B4%91%EA%B3%A0)